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4 사망원인통계 한눈에|카드뉴스 요약(가공·해설)

by 욜로만세 2025. 9. 26.

2024년 사망원인통계 카드뉴스형 요약 (가공·해설)

원자료 수치만 바탕으로 재가공·재서술한 2차 저작물입니다. 원문 문장·표·이미지·도표는 복제하지 않습니다.

🧮 총 사망자
358,569명
전년 대비 +1.7%
📊 조사망률
702.6
(10만 명당) 남 754.9 · 여 650.7
📉 연령표준화 사망률
294.6
전년 −5.1
📌 3대 사인 비중
42.6%
암 · 심장 질환 · 폐렴
🏷️ 10대 사망원인
  1. 암 174.3
  2. 심장 질환 65.7
  3. 폐렴 59.0
  4. 뇌혈관 질환 48.2
  5. 자살 29.1
  6. 알츠하이머병 23.9
  7. 당뇨병 21.7
  8. 고혈압성 질환 16.1
  9. 간 질환 15.3
  10. 패혈증 15.1
합계 비중 66.7%
👥 연령·성별 포인트
  • 10~40대 1위: 자살
  • 50대 이후 1위: 암
  • 80세 이상 비중: 54.1%(남 41.5%, 여 68.5%)
  • 남/여 조사망률 성비: 1.16배
🧬 암 상세
사망률 174.3(+4.5%)
  • 폐암 38.0
  • 간암 20.4
  • 대장암 19.0
  • 췌장암 16.0
  • 위암 14.1
🆘 자살 지표
29.1
(10만 명당, +6.6%)
남 41.8 · 여 16.6
OECD 연령표준화: 한국 26.2 / OECD 평균 10.8
🧠 치매 지표
29.3
(10만 명당)
여성이 남성의 약 2.1배
🗺️ 지역별(연령표준화)
전국 294.6
낮은 지역
  • 서울 254.7
  • 세종 276.6
  • 경기 279.8
높은 지역
  • 전남 333.7
  • 강원 324.6
  • 충북 324.2
사인별 상대 고율: 암 경남 / 심장 부산 / 폐렴 광주 / 뇌혈관 충북 / 자살 제주 / 알츠하이머 경남 / 당뇨 울산
👶 영아·출생전후기·모성
  • 영아사망 564명 · 영아사망률 2.4(남 2.6, 여 2.1)
  • 출생전후기 사망 546명(사망률 2.3)
  • 모성사망 24명 · 모성사망비 10.1
한 줄 요약
고령화 영향 속 ‘암·심장·폐렴’ 집중, 자살·치매 관리의 중요성 확대
📎 자료 출처 및 이용 안내
  • 2차 저작물 고지: 본 글은 통계 수치를 바탕으로 작성자가 독자적으로 가공·해설한 콘텐츠입니다. 원문 문장·표·이미지·도표는 그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.
  • 원자료: 통계청 「2024년 사망원인통계 결과」(배포일 2025-09-25), 정부 e-브리핑 속기록.
  • 표기 예시: 자료=통계청 「2024년 사망원인통계 결과」·정부 e-브리핑(가공·요약: 본 블로그), 열람일 2025-09-26.
  • 공공누리: 상업적 이용 금지(제2·4유형) 또는 변경금지(제3유형) 콘텐츠를 직접 사용하지 않습니다. 수치 인용 + 자체 해설만 사용합니다.
  • 책임 범위: 해설과 의견은 작성자 견해이며 원 발행기관의 공식 입장이 아닙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