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카톡 자동업데이트 논란 총정리: 피드 강제·불편 폭증, 차단법과 카카오 주가 전망

by 욜로만세 2025. 9. 26.
카카오톡 자동업데이트, 대체 왜 이래? — 불편 폭탄 정리 & 카카오 주가·전망

카카오톡 자동업데이트, 대체 왜 이래?

— 갑툭튀 대개편으로 불편·혼란 폭발. 작성: 2025-09-26
자동업데이트 논란 친구탭 피드화 사생활 피드 노출 주가 하방 리스크

3줄 요약

  • 카톡이 15년 만의 ‘대개편’을 밀어붙이면서 친구 탭이 인스타 피드형으로 바뀜 → 사용자 반발 거세짐.
  • 자동업데이트 켜둔 줄도 몰랐던 사람들까지 일제히 강제 체감 → “업데이트 테러”라는 불만 확산.
  • 시장도 눈살: 카카오 주가 단기 흔들림(개편 직후 낙폭) + 불확실성 확대.

이게 왜 이렇게 불편하냐

1) 첫 화면부터 낯섦·혼선
카톡 실행하면 보이는 ‘친구’가 연락처 목록이 아니라 피드가 됨. 업무용·가정용 섞어 쓰는 사람들한테 최악의 UX.
2) 원치 않는 노출 이슈
프로필/게시물 업데이트가 친구 피드에 뜨면서 사생활·업무 경계 붕괴. 괜히 ‘좋아요/반응’ 유도되는 느낌도 거슬림.
3) 통제감 상실
스토어 자동업데이트 켜 둔 줄 모른 사용자도 대거 업데이트. 체감상 ‘동의 없이 바뀐’ 느낌 = 반발.

※ 개편·반발 보도 다수. 공식 발표 및 주요 매체 기사 참조.

당장 할 수 있는 최소 방어

안드로이드 (앱 개별 해제)

  • Play 스토어카카오톡 검색
  • 우측 상단 자동 업데이트 사용 해제

주의: 시스템 전체 자동업데이트를 꺼두면 보안패치 지연 위험. 중요 패치 공지 시 수동 업데이트 권장.

아이폰 (시스템 설정)

  • 설정App Store
  • 앱 업데이트 토글 끄기

iOS는 App Store의 자동 업데이트 토글로 제어.

피드 노출 최소화 팁(업데이트 후)

  • 프로필/게시물 공개범위 ‘친구만’ 또는 ‘나만 보기’로 변경
  • 프로필 변경 피드 노출 차단 옵션 점검

카카오 주가 & 전망 (개편 이슈 반영)

※ 투자 조언 아님. 공개 기사·지표 기반의 개인적 정리.

지금 시장이 보는 포인트

  • 단기 충격: 대개편 직후 투자심리 위축(낙폭) + KOSPI 약세 환경과 맞물려 변동성 확대.
  • 의도: ‘피드형’ 전환으로 체류시간·광고/커머스를 키우려는 전략. 성공 시 톡비즈 수익 다변화.
  • 리스크: 사용자 반발 지속 → 사용성 저하/이탈, 규제·정치적 리스크 재점화, 시행착오 비용.

시나리오 테이블 (6–12개월 가정)

시나리오조건주가/평가 관점
베어(부정) 피드 반발 장기화, 일간활성이탈(Dau) 체감, 규제·평판 리스크 재부각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지연·할인 지속. 기술적 하단 재테스트 가능.
베이스(중립) 피드 옵션/설정 보완, 불편 완화, 톡비즈·광고 점진 회복 박스권 ↔ 실적 모멘텀 따라 점진 완만한 회복.
불(긍정) 피드 체류↑·광고단가↑, AI 기능 유저 가치 입증, 규제 이슈 잠잠 플랫폼 멀티플 상향(동종 대비 할인 축소), 추세 반전 시도.
체크포인트(앞으로 볼 것)
  • 업데이트 후 사용 지표(체류시간, 피드 참여, 채널/광고 전환)
  • 피드 노출/개인정보 관련 설정 보완·사과/공지 등 후속 대응
  • 다음 실적시즌(톡비즈·콘텐츠·페이·모빌리티) 코멘트

결론 — “불편함”이 먼저다

이번 업데이트, 솔직히 말해 사용자 경험을 충분히 설득하지 못한 상태에서 밀어붙인 감이 큽니다. 첫 화면부터 피드로 뒤집어놓고, 자동업데이트까지 겹치니 체감은 “업데이트 폭탄”. 지금 필요한 건 기능 자랑이 아니라 설정·노출 통제권을 사용자의 손에 확실하게 돌려주는 일입니다.

작성자 코멘트: 본 글은 공개 기사·공식 도움말에 근거해 요약·비평 관점으로 정리했습니다.